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센터소개

정신건강에 대한 작은관심, 큰행복의 시작입니다.

광주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

광주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은

기존의 행정 구 중심의 분절된 정신보건서비스의 틀을 탈피하고 시·도 단위의 정신건강 체계를 확충하여 바람직한 지역사회 정신건강시스템을 정착시키고자 2012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변화와 추진과정
  • 2021~
    현재
    확산 및 활성화
    • 통합사업의 확산과 안정화
    • 광주형 정신건강지원사업 활성화
    • 중독자 직업재활시범사업
    • 주거지원사업시도 (체험홈, 자립생활주택)
    • 1577-0199 회선확대 (광역→기초포함)
    • 광주자살예방종합대책수립 ('23~'26)
  • 2019
    ~2021
    성과유지 및 정착
    • 시범사업정착 및 확산지원
    • 진주사건을 통한 광주사업의 전국 확산 결정
    • 자립재활지원사업 수행 (동료지원가 등)
    • 광주형 정신건강지원모델 기반 구축
    • 유족원스톱서비스 지원 등 자살예방사업 확대
  • 2018
    성과도출
    • 시범사업 평가
    • 효과성 검증
    • 정신보건 지표개선
    •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2014
    ~2017
    추진 및 도약기
    • 장단기과제수행
    • 통합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 프로그램 개발·보급
    • 선도특화사업 수행 (마음건강주치의, 마인드링크, 동네의원마음이음 등)
  • 2012~
    2013
    기반조성 및 준비기
    • 사업추진 계획수립
    • 기반 및 시설확충 (기초, 중독센터, 열린마음상담센터 인력 및 시설확충)
    • 인적자원 조직화 (교육훈련 및 사업 매뉴얼 개발을 통한 표준화)
추진연혁
  • 국가 정신보건시범사업 시작(시 직영) ※공모선정('11. 12. 15.): '12. 1.~
    •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자살예방센터('12. 6.), 트라우마센터('12. 8.), 지원단(4기~)
    • 알코올상담센터 2개소 추가 개소(남구, 광산구)
  • 광주정신보건시범사업의 추진과 지역특성화 사업 수행: '13. 1.~
    • 1577-0199 24시간 정신응급 현장출동 및 경찰-소방-센터 삼자통화시스템 구축
    • 알코올상담센터 → 중독관리센터로 전환(전국최초, 5대 중독관리)
    • 영구임대단지 열린마음상담센터 설치 · 운영(10개)
  •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와 자살예방센터 조직통합 (부설) 자살예방센터 운영: '15. 1.~
  • 5 · 18 트라우마센터 분리 및 광주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 성과도출 집중: '16. 1.~
    • 정신건강종합대책 근거 청년조기중재센터, 마음건강주치의, 동네의원마음이음사업 등 선도특화사업 실시
  • SOS 정신응급병상 확보 및 지정 정신의료기관 사업추진: '18. 1.
  • 복지부 주관 정신보건시범사업(광주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 평가: '18. 5.
    • 평가 결과: 매우우수(91.4점) / 우수사례 타 시 · 도 확산 및 본사업 전환
  • 진주사건발생: 광주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 전국확산모델 채택 : '19. 5.~
    • 전국시행현황 20년(6개 시도) 21년(5개 시도) 22년(5개 시도) 23년 전국시행
  • 자살유족원스톱서비스지원 시범사업 추진: '19. 7.~
  • 정신질환자 동료지원활동지원 시범사업 추진: '20. 1.~
  • 코로나19 광주통합심리지원단 · 반 구성 및 심리지원서비스 제공: '20. 3.~
  • 마음안심버스 도입(서구, 남구) 및 찾아가는 심리지원사업 확대: '21.~
  • 중독질환자 직업재활시범사업 추진(늘품센터/북구중독) : '21.~
  • 청년중독관리사업 (인터넷중독 중심) 시행(서구중독) : '22.~
  • 정신질환자 자립생활주택 시범사업 시작: '22. 7.~(나래주택 1, 2호)
  • 1577-0199 평일주간 기초센터로 이관 및 회선 확대: '22. 9.~
  • 거점정신의료기관 운영체계 강화 운영 : '23. 1.~
사업구조 및 운영모형
사업구조 및 운영모형

보건복지부 > 국립정신건강센터 >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 광주광역시 > 광주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 전남대학교 병원 > 광주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부설) 자살예방센터 →

  • > 자치구 보건소
    • 정신건강복지센터(5개소) → 청년조기중재센터 마인드링크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개소) → 열린마음상담센터(10개소)
      • 유치원, 학교(초, 중, 고,대학교)
      •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
      • 주민센터(희망복지,행정복지센터)
      • 112 / 119
      • 의료기관(동네의원 마음이음)
      • 정신요양 시설 (4개소)
      • 정신재활 시설(11개소)
      • 정신의료 기관(62개소)
      • 생명사랑 위기대응센터 (2개소)

일반시민 · 정신질환자 · 가족 ·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욕구

사업구조 및 운영모형
  • 보건복지부 · 광주광역시 · 보건소 > 예산 · 행정지원
  • >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정신건강복지센터 · 열린마음상담센터 · 마인드링크 > 예방 · 증진 조기중재 사례관리
  • >
  • 광주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부설) 자살예방센터→ 상호협력 및 연계촉진 정신보건사업 기반조성 1577-0199 운영

    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 조사 · 연구 ·기술지원

    전남대학교병원 정신의학과

  • >
  • 정신의료기관 치료서비스 / 정신재활시설 재활서비스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자살예방상담전화

109

365일 24시간 운영
상단으로 하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