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정신건강정보

정신건강에 대한 작은관심, 큰행복의 시작입니다.

스마트기기 사용장애

스마트기기 사용장애란?

스마트폰 과의존은, 과도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현저성이 증가하고,이용 조절력이 감소하여

문제적 결과를 경험하는 상태입니다.

  • 현저성 개인의 삶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생활패턴이 다른 행태보다 두드러지고 가장 중요한 활동이 되는 것
  • 조절실패 이용자의 주관적 목표 대비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자율적 조절능력이 떨어지는 것
  • 문제적 결과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해 신체적·심리적·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
현황

2022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스마트폰 이용자 중 23.6%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조사된 바 있습니다.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전년대비 감소하였으나 청소년은 상승(37.0%→40.1%)하였습니다.

또한 과의존 위험군이 일반군보다 스마트폰 사용 관련 심리요인, 신체적 폐해, 대면만남 감소 등에 대한 경험정도와 스트레스 해소 의존도가 높은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류
 
스마트폰 과의존 경향의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용자군으로 분류됩니다.
  • 고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로 대인관계 갈등이나 일상의 역할문제,
    건강문제 등이 심각하게 발생한 상태입니다.
    관련 기관의 전문적인 지원과 도움이 요청됩니다.
  • 잠재적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조절력이 약화된 상태로 대인관계 갈등이나 일상의 역할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단계입니다.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일반 사용자군
    스마트폰을 조절된 형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건전하게 활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자기 점검을 하시기 바랍니다.
스스로를 돕는 방법 Self-Care
  • 1
    규칙적인 생활을 계획에 따라 실천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다양한 취미활동을 가지도록 합니다.
  • 3
    스마트폰 사용 종료시간 알람을 정해 수면골든 타임을 지키도록 합니다.
  • 4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기점검을 통해 체크해보도록 합니다.
  • 5
    스마트폰 문자 대신 가족, 친구들과 눈을 보고 대화하는 습관을 길러도록 합니다.
  • 6
    스마트폰 ‘메신저 다이어트’를 실행합니다.

    목적이 있는 경우에만 메신저를 이용하고, 불필요할 때는 알림끄기 또는 무음기능을 활용해보면 도움이 됩니다.

 
참고
  • 해당 내용은 「2022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스마트쉼센터(https://www.iapc.or.kr/, https://www.chungbuk.go.kr/iapc/contents.do?key=933) 에서 발췌하였습니다.
더 많은 정보나 도움을 원하시나요?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대표번호
: 062-600-1930
사용자 만족도 조사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자살예방상담전화

109

365일 24시간 운영
상단으로 하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