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정신건강정보

정신건강에 대한 작은관심, 큰행복의 시작입니다.

조현병이란?

‘조현’은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입니다. 뇌의 신경계 혹은 마음의 조율이 제대로 되지 않아 뇌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지만 치료를 통해 신경계와 마음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합니다.

조현병은 드문 질환이 아닙니다. 전 세계 인구의 0.5~1%가 조현병을 앓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25만에서 50만 명이 앓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치료가 늦어지거나 중단되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를 가능한 빨리, 그리고 지속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원인

조현병은 복합적인 요인이 발병과 관련되어 있으나 정신질환 중 유전적인 혹은 생물학적인 요인의 비중이 높은 질환입니다. 생물학적 취약성도 조현병의 주요한 원인입니다.

도파민, 세로토닌, 글루타메이트 등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활성 변화가 조현병의 증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 조현병 환자의 뇌연결망 이상은 뇌백질 경로의 이상, 비정상적인 신경연결 발달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현병 발병의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출산 전후의 감염, 고령의 아버지, 임신 시 영양결핍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생물학적 취약성에 환경적 원인이 가중되면 조현병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대마초 흡연, 아동기 학대경험, 이민, 사회적 고립, 대도시 거주 등이 조현병의 발병 위험성을 높입니다.

증상
  • 양성증상
    • 환청, 환시, 환촉, 환후, 환마, 피해망상, 관계망상, 조정망상, 감시망상, 그밖의 망상(과대망상, 종교망상, 허무망상, 신체망상 등)
    •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 음성증상
    • 정동둔마 : 표정의 변화가 줄어드는 등 감정적으로 느끼거나 표현하는 것이 감소함
    • 무언증, 무의욕증, 무쾌감증
  • 인지증상
    • 주의력, 집중력, 판단력, 기억력의 저하
스스로를 돕는 방법 Self-Care
  • 1
    꾸준히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습니다.
    현재 상태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함께 점검하고 궁금한 점을 묻고 평소의 고민을 상의합니다.
  • 2
    규칙적으로 약물을 복용합니다.

    재발의 가장 큰 원인은 약물 복용을 소홀히 하기 때문입니다. 약물의 부작용이 의심이 되면 진료할 때 상의합니다.

    전문의와 상의 없이 임의로 약물을 줄이거나 늘려 복용하지 않습니다.

  • 3
    조현병에 대한 공부를 합니다.
    <조현병, 마음의 줄을 고르다> 등 조현병에 관한 책을 읽습니다.
  • 4
    집에만 있지 말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야외를 나가려는 노력을 합니다.
    정기적으로 외부활동을 할 수 있는 스케줄을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5
    매일 적당한 운동을 합니다.
    걷기, 조깅 등 다양한 운동 중 본인이 관심 있는 종목을 정하여 꾸준히 운동하는 습관을 만듭니다.
  • 6
    규칙적인 수면 및 식사 패턴을 유지합니다.
    불규칙한 식사와 수면으로 인해 약물 복용을 소홀히 하게 되어 재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생활 패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합니다.
  • 7
    증상이 악화되는 신호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명백한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짜증, 화, 불안, 불면, 대인관계 예민함이 악화되었다면 가족에게 알리고 전문의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8
    담배, 술, 과도한 카페인 섭취를 피합니다.
  • 9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하여 사례관리와 교육 및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합니다.
 
참고
  • 해당 내용은 「국가정신건강포털(https://www.mentalhealth.go.kr/portal/disease/diseaseList.do)」에서 발췌하였습니다
더 많은 정보나 도움을 원하시나요?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대표번호
: 062-600-1930
사용자 만족도 조사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자살예방상담전화

109

365일 24시간 운영
상단으로 하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