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살 유족 정보

작은 관심, 큰 행복의시작 광주자살예방센터는 항상 광주시민의 행복을 응원합니다.

고인과의 관계에 따른 애도 반응
부모를 잃은 유족
부모가 사망한다는 것은 매우 충격적이고 슬픈 일이며, 자녀의 입장에서는 자신을 보호해줄 애착 대상이 사라졌다는 충격과 불안이 더 클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존재의 상실'

상실로 인한 불안은 어린 자녀뿐만 아니라 성인 자녀들도 겪게되는 대표적인 감정입니다.

억압과 통제, 그리고 회피에서 벗어나 적절한 애도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부모를 잃은 어린(아동청소년) 자녀가 느끼는 감정
    누가 나를 돌봐줄 것인가? 로 시작되는 분리불안, 죽음 또는 고인에 대한 반복적인 질문, 남겨진 부모의 추가 자살 사망에 대한 공포, 과격한 행동 표출 및 신체적 증상, 사별 후 일상생활의 유지, 상실 회피 및 억제
  •  
    부모를 잃은 성인 자녀가 느끼는 감정
    불안, 사회적 위축, 대인관계 어려움, 부모의 자살이 자신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속적 탐색, 생애주기 과정(입학, 졸업, 결혼, 출산 등)에서의 부모 부재 불만과 원망
  •  
    배우자를 잃은 유족
    배우자를 잃은 유족은 우울감 등 정신건강의 어려움과 함께 경제적 어려움, 양육 부담 등도 겪게 됩니다. 자살이라는 사회적 낙인과 유족이 느끼는 죄책감은 슬픔을 충분히 외부로 표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적인 슬픔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남겨진 배우자의 독특한 경험
  • 다른 유족에 비해 강한 배신감 및 분노 감정 경험
  • 고인의 혈족과의 관계 단절 및 원망의 대상
배우자를 잃은 유족이 경험하는 감정과 어려움
  •  
    정신건강의 어려움
    배우자의 사망은 생애 가장 큰 스트레스 사건
    •  
      여성의 경우
      우울, 슬픔 + 배신감을 느낌
    •  
      남성의 경우
      우울, 슬픔 + 외로움, 죄책감을 느낌
  •  
    경제적 어려움
    여성 배우자의 경우 더 크게 와닿는 어려움 (생계의 어려움으로 인한 슬픔과 애도 반응 억제)
  •  
    자녀 양육 부담

    남성 배우자의 경우 더 크게 와닿는 어려움

    배우자의 사망으로 인해 가정 내에서 자신의 역할뿐만 아니라 고인의 역할도 감당해야하기 때문에, 전문 적인 치료와 상담 서비스를 박탈 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연된 애도 과정으로 인해 정신건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를 잃은 유족

자녀의 사망은 부모에게 가장 큰 충격이며 회복이 쉽지 않습니다.
부모가 함께 상실을 감내하지만 슬픔을 극복하는 방식이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부부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 자식이 죽었는데 더 사는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

미래의 삶에 대한 의미를 잃고 무망감을 겪으며, 슬픔이 격정적으로 표출되기도 합니다.

  •  
    어머니가 느끼는 감정들

    슬픔, 분노, 죄책감, 외부에 대한 적대감, 적극적인 애도과정, 자녀 죽음에 대한 책임으로 비난 대상 찾

  •  
    아버지가 느끼는 감정들

    죄책감, 수치심, 스트레스성 신체질환, 슬픔을 드러냄으로서 나타날 반응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감정통제, 직장 및 사회생활에 과도한 몰입, 알코올 및 흡연등 과도한 남용

애도 반응에서도 각 사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해소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형제자매를 잃은 유족
  • 부모의 슬픔과 걱정
  • 자신의 슬픔을 솔직하게 이야기하지 못함
  • 친구나 동료에게 위로를 받음
  • 가족 내 고인의 이야기 "금기,단절"
  • 가정 내의 불편한 과정 회피
  •  
    "고인이 된 형의 역할을 내가 해야한다는 말이 너무 부담스러웠다."
  •  
    "내가 고인의 이야기를 하면 부모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  
    "집 분위기가 너무 우울해서 밖으로 돌아다닐 수밖에 없다."
  •  
    형제 자매를 잃은 유족이 경험하는 감정
    애도 과정에 대한 회피 또는 억제,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 역할 대리 수행에 대한 책임감과 부담감, 타 유족에 비해 높은 자살 위험성, 고인의 배우자 또는 자녀에 대한 원망과 분노
 
참고
  • 위 내용은 중앙심리부검센터에서 발행한 서적 - 유족을 위한 도움서에서 일부 발취한 내용입니다
상단으로 하단으로